전체 글
자주쓰는 색상을 React에서 관리하는 방법
React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색 코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합니다: 1. 상수로 관리하기: 색 코드를 JavaScript 파일에 상수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constants.js` 또는 `colors.js`와 같은 파일을 생성하여 색 코드를 정의합니다. 이 파일을 필요한 컴포넌트에서 import하여 사용합니다. //색 코드 정의 export const COLORS = { PRIMARY: '#FF5733', SECONDARY: '#4287f5', BACKGROUND: '#F2F2F2', TEXT: '#333333', ACCENT: '#FFC107', }; //색 코드가 필요한 곳에서 import해서 사용한다. import React from 'rea..
부모 자식간의 교류에 관하여.
props는 React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값을 전달받는 데 사용되는 속성입니다.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props를 사용하며, 이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의 값을 변경하려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콜백함수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자식 컴포넌트는 이 콜백 함수를 호출하여 부모 컴포넌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면 단방향 데이터 흐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콜백함수 사용하기. 1. 부모컴포넌트에서 콜백함수를 정의 2. 정의한 콜백함수를 자식의 props로 전달하고, 3. 자식 컴포넌트에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콜백 함수를..
링크드 리스트에 관하여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선형 자료구조입니다. 각 데이터 요소는 노드(Node)라고 불리는 객체로 구성되며,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또는 링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링크드 리스트의 가장 처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는 보통 "헤드(Head)"라고 불리며, 마지막 노드는 보통 "테일(Tail)"로 표현합니다. 링크드 리스트는 배열과는 달리 데이터 요소들이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으며, 각 노드는 다음 노드의 위치를 포인터로 가리키면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의 삽입, 삭제, 이동 등이 배열에 비해 더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 링크드 리스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노드(Node): -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