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parameter와 argument의 차이점

    parameter와 argument는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arameter(매개변수)는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가 받아들이는 값의 이름입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의 매개변수를 정의하면 함수 내에서 그 값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면: function greet(name) { console.log("Hello, " + name + "!"); } 여기서 name은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입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name이라는 매개변수를 정의하였으며, 이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되는 값(argument)을 받아들입니다. argument(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에 전달되는 값입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의 매개변수와 같은 수와..

    RESTFUl API란 무엇일까?

    RESTFUl API가 과연 무엇일까요? Restful API라는 것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의 약자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아키텍처입니다. Restful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Restful 웹 서비스는 HTTP 요청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Restful API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1.자원(Resourc) : 모든 자원에 고유한 식별자가 있고, 식별자를 통해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 2.행위(Verb) : HTTP 프로토콜의 메서드를 사용하여 자원에 대한 행위를 나타냅니다. 주로 사용되는 메서드는 GET, POST, PUT, DELETE 등이 있습니다 3.표현(R..

    웹 페이지가 랜더링되는 과정

    웹페이지가 랜더링 되는 과정을 알아보자. 1. 우선 웹 페이지 접속시 URL을 기반으로 웹 서버와 HTTP 통신을 통해서 요청(Request)을 보낸다. 2.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HTML, CSS, JavaScript, IMG 와 같이 페이지를 구성하는 파일로 응답한다. 3. 브라우저는 HTML 문서, CSS 파일을 파싱하여, DOM트리와 CSSOM 트리를 결합하여, 렌더트리를 생성한다. 4. 랜더트리에서 노드들의 레이아웃을 계산하고 브라우저가 레이아웃과 페인팅 작업을 수행하며 화면에 웹페이지를 랜더링한다. 위와 같이 페이지가 랜더링 되기 위해서는 HTML과 CSS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다.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를 결정하고, CSS는 웹페이지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결정한..